반응형
에릭슨의 생애 (Erik H, Erikson, 1902~1994)
에릭슨은 1902년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근방에서 태어났다. 덴마크 사람인 친부는 그의 출생 전에 헤어졌고, 그가 세 살 적에 어머니는 에릭슨의 소아질병을 치료했었던 소아과 의사와 재혼하였다. 에릭슨은 수년이 지나서야 자기 아버지가 생부(生父)가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그는 고등학교를 마쳤으나 더 이상의 학교교육은 받지 않았다. 에릭슨이 정신분석 연구를 처음 배우게 된 것은 비엔나 근처의 한 산악 온천장에서부터였다. 거기서 그는 가정교사로서 처음 프로이트(Freud)의 가족을 알게 되어 결국 비엔나 정신 분석원에서 훈련을 받을 우수한 후보자로 뽑히게 되었다. 1927년부터 1933년까지 안나 프로이트 (Anna Freud)등의 지도하에 정신분석에 대한 훈련을 받은 것이 유일한 그의 공식적인 교육훈련이다. 1950년 그의 첫 저서 『아동기와 사회 (Childhood and Society)』가 출판되었으며 이 책은 그를 미국의 자아 심리학의 대변자로서 인정하게끔 만들었다. 그는 정식 교육을 받지 못했고 학위도 없지만 임상가와 대학교수로 왕성한 활동을 하였으며, 1994년 92세의 나이로 미국에서 사망하였다.
01 에릭슨의 인간관
- 인간을 내적 통합성, 좋은 판단력 그리고 성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며 창조적인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 인간을 총체적 존재로 보고 있으며, 환경 속의 존재(person in environment)로 규정하고 있다.
- 인간의 행동은 생물학적(유전적) 성숙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으며, 그중에서도 사회문화적 요인(social forces)의 영향을 특히 중요시하였다.
- 인간을 가변성을 지닌 존재, 즉 인간의 발달은 끝이 없으며, 전체 생활주기를 통해 지속된다고 보고 있다.
02 기본 가정
- 발달은 생리, 심리, 사회적 속성을 지니며, 전체 생애에 걸쳐 일어난다.
- 사회제도와 보호자는 개인적 효과성(personal effective)의 발달에 긍정적 지지를 제공하며, 개인의 발달은 사회를 풍요롭게 한다.
- 발달은 심리사회적 위기가 일어나는 8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성격은 각 단계의 위기를 해결한 결과이다. 즉 각 단계의 발달은 이전 단계의 심리사회적 갈등과 통합을 토대로 이루어진다.
- 심리사회적 위기는 보편적인 것이며, 모든 문화에서 일어난다. 각각의 문화에 따라 각 생활 단계의 해결방안이 서로 다른다.
- 심리적 건강은 자아 강점(ego strength)과 사회적 지지의 기능에 달려 있다.
-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사회제도로부터 소외될 경우 자아정체감의 혼란이 야기된다.
03 주요 개념
1) 자아와 자아정체감
- 자아(ego) : 원초아와 초자아의 두 세력을 어느 정도 무시하고 자아가 자율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 자아정체감(ego identity) : 정체감의 형성을 전 생애에 발달하고 있다고 보고 정체감을 심리사회적 정체감 (psychosocial identity)과 개별적 정체감(individual identity)으로 나누었다. 심리사회적 정체감이란 개인이 속하고 있는 집단에 대한 구속감 내지는 일체감을 말한다. 개별적 정체감이란 개인이 어떤 집단에 속해 있지만 그 집단 속에서 타인과는 독립되고 고유한 존재로서 갖게 되는 정체 의식이다.
2) 점성 원칙(epigenetic principle, 점성적 원리)
- 성장하는 모든 것은 '기초 안'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초 안'에서 부분이 파생하고, 각 부분에는 특별한 상승기(우세해지는 시기)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통합된 전체로 기능하게 된다.
- 인간 발달은 최적의 시기가 있고, 모든 단계는 예정된 계획대로 전개된다. 즉 인간은 예정된 단계를 거치며 성장하고 발달한다는 것이다.
반응형